원시 자료형 1, 'string', true, undefined, null, Symbol() // number, string, boolean, undefined, null, symbol 참조 자료형 [0, 1, 2] // 배열 {name: 'kim', age: 17} // 객체 function sum(x, y) { return x + y } // 함수 원시 자료형의 특징 1. 원시 자료형을 변수에 할당하면 메모리 공간에 값 자체가 저장됩니다. let score = 90; 변수 score를 선언하면 컴퓨터에서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고 score라는 이름을 붙힙니다. 그 다음 score라는 공간에 90을 할당합니다. → 값 자체를 공간에 저장 2. 원시 값을 갖는 변수를 다른 변수에 할당하면 원시 값 자체가 ..
❓ 문제 부트캠프에서 주어진 과제를 풀다가 헷갈렸던 개념이 있었습니다. 차례대로 문자열 3개를 입력받아서 그 중 가장 짧은 문자열을 리턴하면 되는데, 동일한 문자열이 있다면 먼저 나온 것을 리턴하면 되는 문제입니다. 아래 코드는 문제가 되었던 풀이입니다. function fn(word1, word2, word3) { const l1 = word1.length; const l2 = word2.length; const l3 = word3.length; if (l1
변수 특정 데이터에 이름을 붙여서 사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. console.log를 사용하여 구구단 n단을 출력한다고 했을 때, 일일히 숫자를 바꿔주기가 너무 귀찮고 손이 많이 갑니다. 하지만 변수를 사용한다면 훨씬 편하게 출력할 수 있습니다. let n; // 변수 선언: 컴퓨터가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도록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고 // 이름을 부여하는 것 n = 9; // 값 할당: 메모리 공간에 특정한 값을 넣는 것 console.log(num * 1); // 5 console.log(num * 2); // 10 console.log(num * 3); // 15 console.log(num * 4); // 20 console.log(num * 5); // 25 console.log(num * 6); ..